목차
청년도약계좌란 무엇인가?
청년도약계좌는 정부가 지원하는 정책금융상품으로, 청년들이 꾸준히 적금하며 목돈을 마련할 수 있도록 돕는 제도입니다.
가입자는 매월 일정 금액을 납입하면 정부에서 기여금을 지원하며, 이로 인해 연 9.54%의 적금에 가입한 것과 같은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.
2025년, 달라진 청년도약계좌 혜택
내년부터는 정부 기여금이 최대 월 60,000원으로 확대됩니다.
특히 모든 소득 구간에서 매칭 한도가 납입 한도인 월 70만 원까지 상향되어 더욱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- 월 납입 70만 원 기준: 정부 기여금 최대 3만 3000원 지급
- 개인소득 2400만 원 이하: 매칭비율 3.0%로 계산
- 개인소득 3600만~4800만 원: 월 최대 2만 5000원의 기여금
청년도약계좌의 수익률: 적금 이상의 효과
청년도약계좌의 수익률은 일반 적금상품과 비교해도 우수합니다.
최대 연 9.54%의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으며, 중도해지 시에도 연 7.64%의 적금 효과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.
이는 청년들에게 장기적인 재정 계획을 세우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됩니다.
추가 혜택: 신용점수 가점 및 부분 인출
청년도약계좌를 2년 이상 유지하면 개인 신용평가점수에 5~10점의 가점이 부여됩니다.
또한, 800만 원 이상 납입한 경우 납입 원금의 40%까지 부분 인출이 가능해 유연한 자금 운영이 가능합니다.
이 서비스는 내년 하반기부터 시행될 예정입니다.
가입 방법 및 일정
2025년 청년도약계좌는 1월 2일부터 10일 사이에 신청이 가능합니다.
가입 대상은 소득 요건에 부합하는 청년으로, 신청 후 가입 요건 확인 절차를 거쳐 계좌 개설이 진행됩니다.
신청 가능한 은행:
- NH농협, 신한, 우리, 하나, IBK기업, KB국민
- 부산, 광주, 전북, 경남은행
- iM은행 등
2024년 누적 가입 현황
2024년 청년도약계좌 신규 가입자는 약 106만 명으로, 누적 가입자는 157만 명에 달합니다.
현재 가입 대상 청년 약 600만 명 중 4명 중 1명이 청년도약계좌를 통해 재정 계획을 세우고 있는 셈입니다.
내년에는 더 많은 청년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3470억 원의 예산이 배정되었습니다.